fetch라는 명령어를 보다가 궁금해져서 검색을 했더니 재미있는 블로그가 있었습니다.
흔히 사용하는 영어 동사는 우리가 한국어 뜻으로 이해하기보다는 동작으로 이해하는게 더 좋은 경우가 있는데,
이걸 잘 설명해준 블로그가 있었네요.
나중에 정리해서 기억할겸 단어들에 대해서 조금씩 찾아봤더니 나름 다르게 사용되는 동사였습니다.
참고했던 블로그는 아래쪽에 링크!
Fetch
롱맨에서는 위와 같이 나오네요.
영국 영어에서 가서 어떤 것 또는 어떤 이를 다시 가져오는 것이다 라고 설명이 되어 있네요.
그냥 가져오기 보다는 직접 가서 가져오는 take와 가까운 느낌의 동사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take
fetch가 가서 가져오는 느낌이었다면, take는 가져서 다른 곳으로 가는 느낌입니다.
한 장소에서 무언가를 들고 원하는 장소로 가는 것이죠.
Get
get은 조금 더 간단히 무언가를 얻거나 받는 동작이라고 나와 있네요.
retrieve
retrieve는 무언가를 찾아(find) 다시 가져다 놓는 동작입니다.
찾는 대상이 어디있는지 알고 가져올 수도 있고, 우연히 찾게된 것을 가져다 놓는 식으로 사용할 수 있겠네요.
가져오다라는 말이지만, 동작의 표현 모습에서 조금씩 다른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!
아마 메모리상의 데이터를 어떻게 가져오는지에 대한 동작의 차이로 함수이름이나 변수명을 쓸 수 있을 것 같네요!
# 참고 블로그
반응형